매일신문

의대 증원 신청 앞두고…대구권 4개 의대생들 "증원 확대 중단해라"

4개 의대 연합 TF팀 SNS 통해 호소문 발표
실습 현장서 시설, 기자재 부족 잇따라…
학교 무대응 또는 증원 0명 제출 해야

제주도의사회가 29일 오후 제주도청 앞에서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두 번째 규탄대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도의사회가 29일 오후 제주도청 앞에서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두 번째 규탄대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4일까지 교육부가 각 대학에 의대 증원 규모 신청을 받기로 한 가운데 대구권 4개 의대생들이 '증원 확대 중단'을 호소하고 나섰다.

1일 경북대, 계명대, 영남대, 대구가톨릭대 의대로 구성된 연합 TF팀은 SNS 계정을 통해 "오는 4일 예고된 정부의 의대 증원 신청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경북대 의대 학생 일동은 "현 경북대 의대 정원(110명)의 2배 가까이 되는 학생들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는 교육시설은 사실상 전무하다. 현재도 해부실습이나 병원 임상실습 현장에서 시설, 기자재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교육부에서 시설 및 예산확충을 약속한다 하더라도 이행된다는 보장은 없다. 학교 측의 3/4 증원 규모 제출에 반대하는 입장이다"고 선언했다.

이어 대구가톨릭대 의대 학생 일동은 "의대는 빈 강의실, 빈자리 없이 의예과 2학년부터 의학과 2학년까지 아침부터 저녁까지 수업을 하고 있다. 가끔 외부 강사가 오실 때면 학교 실험실 환경이 열악하다며 아쉬워한다"라며 "해부 실습의 경우 돈이 없다는 이유로 일회용 실습복을 몇 개월 동안 재사용해야한다. 이런 의대가 어떻게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증원 신청에 '무대응' 또는 '0명 제출'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계명대 의대 재학생 일동 역시 "증원이 단기간에 대폭 이루어진다면 후배들이 우수한 교육과정과 시설, 실습 등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게 된다. 객관적 증원 규모 추산 없이 단 한명의 증원 규모도 작성하지 말아달라"고 주장했다.

영남대 의대 비상대책 위원회 또한 "의대 자습실, 강의실, CBT 시험용 컴퓨터 수는 인원에 딱 맞춰져 제공돼 있고 더 이상 자리를 늘릴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4일 재수요 조사에 응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1월 정부가 진행한 의대 증원 수요 조사 시 지역 대학들은 정부에 현 의대 정원의 2배 정도의 증원이 필요하다고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북대(정원 110명)는 200명, 영남대(정원 76명)는 120~180명, 계명대(정원 76명)는 180명, 대구가톨릭대(정원 40명)는 80~100명 등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