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비상등 켜진 수출, 제조·서비스 융합 전략 필요

지난달부터 주춤하던 수출이 5월에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5월 중순까지 수출액은 320억달러로 전년 대비 2.4% 줄었고 대미 수출은 15%가량 감소했다. 올 들어 4월까지 대미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10% 이상 줄었다.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기도 전인데, 당국은 지난해 수출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基底效果) 때문으로 분석했다. 25% 관세가 부과된 4월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0%가량 줄었다. 한국 제조업 국내총생산(GDP)은 해외 수요 의존도가 높아 수출이 위축되면 경제에 직격탄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2023년 한국 제조업 GDP 중 58% 이상이 해외 수요에 의존했다. 미국·중국 제조업의 해외 의존도는 20%대, 일본도 40%다.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통상 환경이 갈수록 악화하면서 해외, 특히 미·중 의존도가 높은 우리 제조업은 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제조·서비스 융합(融合) 수출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제품만 팔 게 아니라 부가가치가 훨씬 높은 서비스와 K-콘텐츠를 함께 묶자는 말이다. 그러나 제조·서비스 융합은 미흡한 수준이다. 새 정부마다 관련 전략을 내놨지만 연속성이 없어 흐지부지됐다. 지난 2023년 정부는 2027년까지 서비스 산업 연간 수출을 2천억달러로 늘려 세계 10위권에 진입하겠다면서 콘텐츠·관광·보건의료·정보기술 등에 맞춤형 지원 강화를 약속했다. 21일에도 정부는 서비스 수출 금융 지원을 12조8천억원까지 확대하고, 콘텐츠·정보통신기술·지식 서비스 등 업종별 수출 실적을 파악해 맞춤형 육성 전략을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