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동안 국내 이공계 대졸이상 인력 증가율이 과학기술 분야 고용 인력 증가율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공개한 '최근 과학기술인력의 고용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 4월 기준 해마다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는 연평균 5.3%씩 증가해 4년 만에 20% 가까이 늘었다.
연도별 인력 규모를 살펴보면 ▷2020년 163만3천명 ▷2021년 169만1천명 ▷2022년 179만1천명 ▷2023년 196만1천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이공계 대졸 이상(학·석·박사) 인력 증가 폭은 연평균 3.6%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4년간 총 14.3% 증가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495만1천명 ▷2021년 505만6천명 ▷2022년 515만4천명 ▷2023년 566만명이다.
경총은 이에 대해 "과학기술 분야 고등교육 인력 양성이 일자리 창출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과학기술인력 중 공학 전문가는 지난해 4월 기준 73만6천명으로 2020년 대비 23.3% 늘었다.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는 40만1천명으로 19% 증가했다.
자연과학·사회과학 전문가 등 과학 전문가는 10만3천명으로 집계됐다. 4년만에 32% 늘었다.
분야별로 인력 미충원율을 살펴보면 ICT 분야는 26.7%로 과학 9.3%, 공학 18.8%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총은 ICT 직종은 지원자가 많더라도 기업이 원하는 인력이 부족해 채용이 쉽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 청년·여성인력 활용 확대, 첨단산업 규제 혁파를 포함한 다각적 인재 육성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과학기술 분야별로 인력 특성이 다른 점을 고려해 분야별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홍준표 "탄핵 결정도 안 났는데 이재명 띄우기 여론 조사 기승"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