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백인산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준비단장 "세계가 대구 주목하는 브랜드로"

"연구·학술 넘어 대중적으로도 집중…지역민과 친밀도 늘려가겠다"

18일 대구 윤선갤러리에서 열린
18일 대구 윤선갤러리에서 열린 '간송다담' 전시장에서 백인산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준비단 단장이 소장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연정 기자

"대구간송미술관이 지역민들을 위해 뭘 해야할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세계가 대구를 주목할 수 있게 장기적인 방향을 잘 세우려 합니다."

대구간송미술관은 국내 첫 사립미술관이자 민족문화유산의 보고(寶庫)로 불리는 서울 소재 간송미술관의 상설전시장이다. 지난 1월 대구미술관 인근 부지에 착공했으며 내년 하반기 준공 예정이다.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준비단은 개관을 1년 앞두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전시·강연 문화행사 '간송다담'을 열고 있다.

지난 18일 대구 윤선갤러리에서 열린 '간송다담' 개막식에서 만난 백인산 대구간송미술관 개관준비단 단장은 지역에서 대구간송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고심이 깊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성을 벗어나는 데 초점을 맞추려한다는 의외의 얘기를 꺼냈다.

그는 "당장의 이벤트들보다 장기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방향을 세우고 있다"며 "대구간송미술관의 콘셉트는 지역성을 넘어 세계가 대구를 주목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브랜드 위상을 높이는 데 주력하자는 것이 대략적인 가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국내외에 지속적으로 알려나가고, 유일무이한 한국 문화유산의 보고로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는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지역성을 완전히 외면하는 것은 아니다. 백 단장은 "전시의 경우 기획전인 '간송문화' 전시와 콜라보레이션 성격의 전시 두 갈래로 진행해나갈 생각"이라며 "콜라보레이션 전시의 경우 대구경북의 자연을 배경으로 한 진경산수화 모음전 등 지역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여러 아이디어가 오가는 중"이라고 했다.

또한 대구간송미술관의 역점 사업 중 하나는 문화재 수리·복원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대구경북은 예로부터 서예 등 전통문화의 뿌리가 깊은 곳이다. 그만큼 그림, 글씨, 책 등의 지류문화재가 많은데,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들 중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것이 많다. 이러한 유산들을 대구간송미술관에서 수리·복원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 단장은 "공간의 제약이 있는 서울 간송미술관의 경우 앞으로 좀 더 연구·학술적인 부분에, 대구간송미술관은 좀 더 대중적으로 열린 부분에 집중하려 한다. 수장 기능도 분담하게 될 것"이라며 "개관 전까지 강연 등으로 지역민과의 친밀도를 높이는 기회를 늘려가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