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납도 병풍은 각 폭을 여러 점의 작은 그림으로 꾸민다. 백납은 부분을 모아 온전한 하나를 만든다는 뜻이다. 자투리 천을 기워 만든 승려의 옷을 백납의, 납의라 하고 여러 판본의 잔결본을 모아 완성한 한 질의 책을 백납본으로 부른다.
병풍이 널리 사용되면서 한 틀의 병풍으로 수십 점의 작품을 소장하며 상시적으로 진열하고 장식할 수 있는 이색적인 백납병(百衲屛)이 출현했다. 병풍은 원래 바람을 막아주는 계절용 가구인 방한품이나 특정한 공간 또는 행사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의례품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던 것이 점차 실내를 꾸미는 일상적 용도로 되면서 그것이 놓인 공간과 그 앞에 앉은 사람을 빛내 주는 위세품이 되었다.
백납병은 다양한 주제의 그림을 한꺼번에 감상할 수 있는 편리한 병풍이다. 처음에는 소장하던 낱장의 작은 그림이나 화첩 등의 옛 명화를 병풍으로 활용한데서 출발했다. 그러나 옛 그림 수십 점으로 꾸미는 것이 쉽지 않자 백납병으로 만들기 위한 작은 그림을 일부러 그려서 붙였다.
유숙의 '백납도' 8폭 병풍은 각 폭에 이 병풍을 제작하기 위해 그린 소품 5, 6점씩을 붙였다. 총 작품 수는 44점이다. 그 중 두 폭을 보면 원형, 직사각형, 부채꼴, 정사각형, 모서리를 궁글린 사각형 등 미니어처 같은 그림들이 세로로 긴 병풍 형태에 맞춰 붙여졌다. 작은 그림을 배치하면서 화폭의 다채로운 형태와 그림 내용의 안배는 물론 한 폭 중에서 그리고 병풍 전체를 펼쳤을 때의 정연한 배열에 각별히 유의하는 구성도 백납병의 특징이다. 이 부분은 화가와 병풍 제작에 관여한 기획자 또는 장인과의 협업이 중요했음을 알려준다.
오른쪽 폭의 제일 위 원형 그림은 주선(酒仙) 이태백을 그린 취태백도(醉太白圖)이고, 그 아래는 송나라 미점(米點)산수와 원나라 황한((荒寒)산수로 다른 화풍의 역사적인 고전산수를 나란히 배치했다. 부채꼴에는 꽃나무 가지에 새가 있는 화조를 그렸고, 제일 아래는 괴석과 난초를 그린 석란이다. 고사인물, 산수, 화조, 사군자를 한 폭에서 모두 볼 수 있다. 왼쪽 폭 역시 질서정연한 4단 구성으로 다양한 화폭을 조화롭게 배치하고 산수, 고사인물, 어해, 매화 등을 그렸다. 두 폭에 5가지 장르의 감상화 11점이 구성미 있게 나열되었다.
백납병은 짧은 기간 유행했고, 화가 입장에서는 40~50점의 소품을 각각 다른 그림으로 채울 수 있어야 하므로 여러 장르에 능통한 팔방미인이라야 가능했다. 전하는 작품이 많지 않아 총 30여 점이 알려졌고, 유숙을 비롯해 안건영, 양기훈, 채용신, 전승진, 허형, 변관식 등과 이름을 알 수 없는 19, 20세기 화가들이 그렸다.
백납병은 19세기에 나타났다. 미술 소비자의 물량 위주의 취향, 다다익선의 미학을 반영하는 병풍이다.
미술사 연구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